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비교(ft. 애드포스트 애드센스)
처음 블로그를 시작하려는 초보 블로거들이 모두 하는 고민이 있습니다.
바로 네이버 블로그 할까? 티스토리를 할까? 어떤 블로그를 선택할까 고민인데요.가디노는 현재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를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성격이 다른 블로그라서 서로 다른 주제로 사용하고 있어요.그래서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 신입 블로거들을 위해 이해하기 쉽도록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블로그의 특징과 비교해 보겠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비교
네이버 블로그는 네이버가 운영하고 티스토리는 다음-카카오가 운영하는 블로그 플랫폼입니다.
세컨드잡, 부업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누구나 한 번쯤은 하는 블로그인데, 제 블로그 포스트 내에 광고를 삽입함으로써 방문자가 광고를 보고 클릭함으로써 얻는 수익으로 부수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광고 수익 비교 : 티스토리 승
광고 수익 비교 : 티스토리 승
네이버는 애드포스트, 티스토리는 애드센스를 통한 광고 수익을 낸다고 했는데요.결론적으로 광고 단가는 2배~10배 정도 티스토리가 높습니다.
티스토리가 1만명의 방문자 수가 발생했다면 하루 티스토리 애드센스 수익은 200달러에서 1000달러까지도 나올 수 있지만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은 하루에 몇 만원입니다.
방문자수 – 네이버 블로그 승다들 아시다시피 한쪽 글자 수는 네이버라는 플랫폼의 압도적인 조회수로 인해 한쪽 글자는 확실히 네이버 블로그가 좋습니다.
네이버는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성격으로 네이버 자체 서비스인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카페, 지식인 중심으로 VIEW로 업데이트되어 매니징합니다.
즉 네이버에서 다음, 티스토리, 구글, 빙 관련 콘텐츠를 찾는 것은 어렵습니다.
한편 티스토리는 다음과 구글 플랫폼에 업로드되므로 네이버 검색 시 네이버 블로그가 나오고 구글 검색 시 티스토리가 오픈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콘텐츠 내용 비교티스토리는 전문지식이 필요한 기술정보 분야에 더 적합하며 네이버 블로그는 보다 일반적인 내용의 정보, 지식, 홍보에 좋습니다.
가디노는 현재 두 블로그를 모두 사용하고 있는데 티스토리는 IT기술, 개발 이슈와 관련된 주제의 포스팅을 하고 있습니다.
코딩에 관한 정보 포스트는 주로 구글에 있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티스토리를 선택하고, 보다 광범위한 주제의 IT 정보와 리뷰, 모든 생활 정보를 위한 포스팅은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운영의 편리성 – 네이버 블로그의 승리가디노 경험으로 네이버 블로그가 티스토리보다 훨씬 운영관리하기 좋습니다.
네이버는 스킨을 고르고 프레임을 세팅한 후 글을 발행하면 되는 UI, UX가 매우 심플하고 간단하며 디자인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도구가 컨트롤하기 쉬워 어르신들도 접근성이 좋습니다.
한편 티스토리는 제공하는 무료 스킨이 있는데, 이를 조금이라도 수정하려면 html 창으로 변환한 후 직접 html, css 코드를 수정해야 합니다.
즉, html, css 코딩이 안 되면 직접 손을 대기가 쉽지 않습니다.
나아가 SEO 최적화 작업을 위해 구글과 네이버에 자신의 블로그 글이 노출되도록 하는 작업 또는 이 html 창을 넣고 태그 안에 코드를 직접 삽입해야 합니다.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선택방법단순히 많은 사람들이 보기 위한 홍보용, 마케팅용이라면 네이버 블로그를 선택하고 콘텐츠가 전문지식 중심과 고단가 애드센스를 통한 광고 수익을 얻고 싶다면 티스토리를 선택하세요. 블로그를 통한 수익을 창출하고 싶으신 분들께는 가급적 두 가지 모두 추천드리며, 가디노처럼 성격을 분류하여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번에는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수익을 비교해보겠습니다.
단순히 많은 사람들이 보기 위한 홍보용, 마케팅용이라면 네이버 블로그를 선택하고 콘텐츠가 전문지식 중심과 고단가 애드센스를 통한 광고 수익을 얻고 싶다면 티스토리를 선택하세요. 블로그를 통한 수익을 창출하고 싶으신 분들께는 가급적 두 가지 모두 추천드리며, 가디노처럼 성격을 분류하여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번에는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수익을 비교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