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용어 정리 주식 per pbs ropbreps 알아보자

주식 용어 정리 株式 per pbs roepbreps

주식 용어 정리 株式 per pbs roepbreps

우리가 주식에 관심을 갖고 처음으로 종목을 선정해서 사려고 한다면 재무제표를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무제표에 나와 있는 주식 용어 중 주식 popbsrops에 대해 주식 용어 정리를 하도록 한다.

주식용어 중 주식per는 주가수익비율을 말한다.

정확히는 프라이스 러닝래티오의 약자로 주당 순이익 비율을 말하는데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가치가 얼마나 평가됐는지 과대평가됐는지 저평가됐는지, 기업 대비 주가가 적당한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쓰인다.

주식 1주가 벌어들이는 수익이 현재 주가에 비해 얼마나 나타내는지 보여주는 것으로 주식 per가 높으면 수익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반대로 과대평가된 주식이라고 판단하기도 한다.

특히 바이오 종목에서 per가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per가 낮으면 기업 수익성이 좋지 않거나 기업이 아직 저평가된 주식으로 보이기 때문에 기업 매출이 꾸준하고 per가 낮을 경우 저평가된 주식으로 저점 매수 신호로 보기도 한다.

주식 pbs란 주당 순자산가치를 말한다.

기업의 순자산을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주당 배분되는 순자산 금액을 의미하는 것이다.

주식 roe는 자기자본이익률을 나타내는 지표로 리턴에쿼티의 약자로 1년간 얼마나 수익이 발생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roe가 높으면 기업의 매출이나 수익성이 높다고 볼 수 있고, roe는 당기순이익÷자기자본으로 계산한다.

주식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을 말한다.

기업의 시가총액을 자본금으로 나눈 수치를 말하며, pbr이 1이라면 주가와 자본금이 같다고 볼 수 있고, pbr이 1보다 높으면 자본금이 많고, 1보다 적으면 자본금이 작다고 볼 수 있다.

pbr 계산방법은 주가÷주당 순자산가치로 계산하면 된다.

주식 eps는 주당 순이익을 말하며 기업의 순이익을 유통하는 주식 수로 나눈 수치를 뜻한다.

주당 얼마의 이익을 실현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1년 단위로 주당 수익 지표라 할 수 있다.

eps 계산방법은 (당기순이익-배당금)÷발행주식수이다.

이처럼 주식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은 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재무제표에는 위에서 언급한 주식 용어가 나오게 되는데, 이를 알고 보는 것과 모르고 보는 것의 차이는 크다.

주식투자를 하려면 종목 선정 시 재무제표는 필수로 볼 수 있고 이후 차트나 호재, 방향성 등을 판단해야 한다.

기업이 얼마나 수익성이 있고 사업 실적을 내고 있는지 빚은 얼마나 되며 현재 주가는 과대평가인지 과소평가인지 확인하는 방법이 재무제표이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무제표를 제대로 보기 위한 주식 용어 정리를 해봤다.

여러 주식 용어 중 꼭 알아야 할 용어인 주식 perpbs ropbreps에 대해 알아봤기 때문에 영어 줄임말이라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지만 하루에도 수십 개의 종목을 찾아보면 금방 익숙해지니까 천천히 기억해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