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LX 한국국토정보공사 서포터즈랜드 러버 김현정입니다.
이번 추석 연휴 잘 보내셨나요? 코로나19로 인해 제대로 된 명절 분위기를 느끼지 못하셨겠지만 즐거운 연휴 보내세요 :)이번에 제가 준비한 콘텐츠 주제는 #지적측량입니다.
지적측량이란 국토를 정확하게 등록하고 관리하는 지적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측량입니다.
그럼 왜 지적 측량을 하는 걸까요?지적측량은 #토지의 소재나 면적 등의 지적에 관한 내용을 표시하고 #지적공부에 토지정보를 등록한다.
지적측량은 효율적인 #토지관리와 소유권 보호에 기여한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점차 상용화되고 각종 기술이 개발되고 향상되면서 측량 기술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직접 관찰하고 그리고 계산하면서 측량하거나 항공을 날려 측량해야 했다면 이제는 다양한 #4차 산업혁명 활용 기술로 현장 측량을 요구하지 않는 측량도 가능해졌습니다.
그렇다면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융합된 측량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금부터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접목된 대표적인 측량 기술 2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위치 파악 기술 GPS#GPS는 널리 대중화된 대표적인 기술입니다.
GPS는 #스마트폰의 #위치추적 기능으로 더 익숙하죠? 그럼 이 위치 추적 기능의 GPS 기술을 사용하여 어떤 원리로 측량을 실시하는 것입니까?GPS 위성은 총 24개로 지구 지표면에서 20,200km 위에서 타원형 궤도를 그리며 지구를 공전합니다.
GPS 위성에서는 2개의 신호인 #반송파(Carrier)와 #코드(Code)를 송출합니다.
그리고 반송파와 코드 신호를 수신기가 수신하여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는 원리의 기술입니다.
상위 사진은 대표적인 측량 장비인 #토탈 스테이션이라고 합니다.
토탈 스테이션 등 장비를 이용한 측량은 기상에 영향을 받지만 GPS를 이용한 측량은 기상 조건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측량이 기존 방법보다 시간적 측면에서 효율적이어서 주목받는 측량 방법입니다.
GPS 측량 사례충청북도는 2004년부터 3개년 계획으로 #지적측량 기준점이 미설치된 약 1300개 마을에 예산을 투입해 지적측량 기준점을 설치하고 지적측량도 #위성측량방법인 GPS측량으로 완벽한 #지적측량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산시와 여수시는 2020년 상반기에 지적공부를 국제표준 세계측지계로 변환했습니다.
여기서 #측지계란 지구의 형상과 크기를 결정하고 공간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기준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GPS를 통한 위성 측량이 가능해져 정확한 측량 성과를 제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세계 측지계를 활용한 GPS 측량은 정확도 높은 지적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은 GPS 위성 측량을 위한 기반 마련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미래 핵심 성장동력 드론드론도 GPS와 마찬가지로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기술입니다.
#드론의 본래 목적은 군사적 목적이었지만 지금은 군사와 평면 영상 촬영을 넘어 측량에 활용되는 주체이기도 합니다.
드론 기술은 정부가 미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선정한 기술의 하나로 지난해 10월에 “드론 분야 선제적 규제 폐지 로드맵”을 구축하는 측량 드론을 위한 영상 정보 수집과 활용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18년에 국토 교통부는 공공 시설물의 관리 때문에 측량에 드론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드론은 사람이 안 내키형 무인 항공기여서 기상의 영향도 덜 받는 기체 유지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춘 측량 방법입니다.
드론 측량의 사례충청 북도는 효율적인#지적 재조사 사업 때문에 드론을 활용한 지적 재조사 모델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드론은 기술의 수요가 높아지자 동시에 기술 발전을 거듭해서 제작 단가가 낮아지고 활용도가 확대하고 그에 따른 공적인 행정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충청 북도는 고해상도의 정사 영상과 3차원 영상 제작이 가능한 드론에서 청주시 청원구 주성동을 시범 사업 지역을 선정하고 지적 재조사 사업을 시행했습니다.
드론을 활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사업비를 절감하고 누구나가 이해할 수 있는 항공 영상으로 주민의 이해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의견을 밝혔습니다.
그리고 전남 완도군은 국토 정보 공사 광주 전남 본부의 전담 팀과 함께 섬의 안방 측량과 경계 정비를 위한 드론과#GNSS측량에 경계와 위치를 수정하고 2019년에도 드론/GNSS측량에 6개의 무인도의 위치를 정정했습니다.
(*여기서 GNSS는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에서 세계적인 위성 항법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GNSS에 GPS기술이 포함됩니다!
)LX한국 국토 정보 공사는 GPS기술과 드론 기술을 사용하고 지적 재조사 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GPS와 드론에서 지적 재조사를 벌이기로 실제 상황의 경계와 일치하지 않는 지적 공부의 경계를 바로잡고 이를 디지털 지적으로 구축하는 매우 중요한 사업입니다!
지금까지 드론과 GPS, 그리고 측량의 교점에 대한 설명을 간단하게 글과 사진으로 보여드렸습니다.
다소 생소한 용어가 있지만 흥미롭게 읽어주시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시간을 내어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몸조심하세요.:)ⓒ 자료출처 충청북도 홈페이지 보도자료 홍성군 홈페이지 보도자료지금까지 드론과 GPS, 그리고 측량의 교점에 대한 설명을 간단하게 글과 사진으로 보여드렸습니다.
다소 생소한 용어가 있지만 흥미롭게 읽어주시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시간을 내어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몸조심하세요.:)ⓒ 자료출처 충청북도 홈페이지 보도자료 홍성군 홈페이지 보도자료